삼균학회, 대한독립선언선포 97주년 기념 학술회의 개최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 이메일보내기

우리나라 역사 교육 현실이 민족성을 잃고 재식민지화 도구로 쓰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균학회 박성수 회장은 대한독립선언선포 97주년을 기리기 위해 지난 1일 삼균학회가 서울 종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개최한 학술회의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
 
박 회장은 가 없는 역사와 가 있는 역사 를 주제로 역사는 바로 나 ( )요 우리 오등 ( 吾等 )이다 , “나를 알려면 나라를 알아야 하고 나라를 알려면 역사를 알아야 한다 고 주장했다 .
 
삼균학회가 대한독립선언선포 97주년을 기념해 개최한 학술회의에서 박성수 회장이 ‘我가 없는 역사와 我가 있는 역사’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그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친 제국주의 열강들은 다시 동서 냉전을 맞아 50여년의 세월을 흘려보냈고 우리나라도 6·25전쟁 이후 분단시대를 그대로 이어오고 있다 고 꼬집었다 .
 
이어 , “역사학은 이런 변화를 배경에 두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 어디로 가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 , “근대화나 선진화 같은 말은 서유럽 역사가들이 꾸며낸 위학 ( 僞學 )이고 우리는 지금껏 그것을 현실로 잘못 봐 속고 있는 것이다 고 개탄했다 .
 
, 박 회장은 서구중심 근대 역사학의 큰 변화는 정치사 를 버리고 사회경제사 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 “경제사나 문화사를 앞세워 아시아가 스스로 산업화를 할 수 없고 , 문화적으로 뒤떨어진 나라라고 비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고 말했다 .
 
서구 사회학의 내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류학인지 역사학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바뀌었다고 지적한 박 회장은 서구 사회학에서 파생된 새로운 해외사를 조심해야 할 큰 이유는 아시아의 식민지화 라는 목적을 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고 강조했다 .
 
덧붙여 해외사의 주제가 아시아의 발전이 아니라 아시아의 문화를 서구의 문화와 비교해 얼마나 뒤떨어진 사회와 문화인지를 설명하려는 데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고 강하게 비판했다 .
 
박 회장은 한국사의 목적이 한국화에 있지 않고 한국의 서구화 측량만을 위한다면 지난날 일제가 식민사관으로 만들어 낸 조선학과 다를 바가 없다 , “한국의 고유한 문화가 무엇이며 그것이 얼마나 오늘날 필요한 일인지를 알아내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고 전했다 .
 
이에 따라 . “한국사는 한국적 가치의 재발견을 목적으로 삼아야 하는데 , 과거 식민지 시대 때 국외로 빼앗긴 자료들이 많아 자기 집 물건을 도둑 집에서 찾는 꼴이 됐다 , “해외에서 자국의 역사와 자료를 공부한 학생들이 한국의 교수가 돼 해외의 방식대로 가르치게 되는 악순환은 새로운 각도의 재식민지화일 뿐이다 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
 
삼균학회가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대한독립선언선포 97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한 학술회의 전경
그는 지금도 서구는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의식에서 조금도 후퇴하지 않았다 , “민족주의를 국수주의 , 심지어 범죄라고 물아붙이면서 지난날의 식민지 사학이 되살아나고 있는 듯 보인다 고 우려를 표했다 .
 
학술회의에 앞서 삼균학회 조만제 이사장은 지난 19192월 초하루 만주 길림에서 조소앙을 비롯한 여러분이 모여 일제에게 처음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 “오늘이 바로 독립운동의 시초가 된 날이다 고 밝혔다 .
 
이어 , “본 학회는 독립정신을 이어받고 삼균주의 사상을 연구하는 곳으로 ,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뜻을 이어받아 통일과업에 이바지해 균등사상인 삼균주의 이론도 깊이 연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고 개회사를 전하기도 했다 .
 
김성원 기자
 
[종교평화를 선도하는신문] 기사제보: jknewskr@gmail.com